재테크/은퇴

사연금 VS 배당주

ik0204 2025. 3. 16. 17:54
반응형

50대에 은퇴한다고 가정하고, 평균 수명이 120세일 때(약 70년간 노후 생활),

사연금(즉, 적립식 연금)과 배당주 투자의 차이


기본 가정

  1. 은퇴 시점: 50세
  2. 평균수명: 120세 → 70년 노후 생활
  3. 월 생활비: 300만 원 (연간 3,600만 원)
  4. 초기 은퇴자금: 10억 원
  5. 사연금 & 배당주 투자 수익률 가정
    • 사연금(안정적 인출형) → 연평균 4% 수익률, 연간 3.6% 인출
    • 배당주 투자 → 연평균 7% 수익률, 배당수익률 4%

① 사연금 방식 (일반적인 인출 전략)

  • 은퇴 후 안정적으로 4% 수익률을 유지하며 연 3.6% 인출
  • 연금 자산이 시간이 지나도 일정 부분 유지됨

연금 소진 가능 여부

70년 동안 지속 가능

  • 10억 원을 연 3.6%씩 인출(3,600만 원)하며, 4% 수익률을 유지하면 원금이 유지되면서 120세까지 가능

📌 장점

  • 안정적인 생활 가능
  • 원금 보존이 상대적으로 쉬움

📌 단점

  • 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력 하락 위험
  •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움

② 배당주 투자 방식

  • **배당 수익률 4%**를 활용해 생활비 충당
  • 투자 원금은 연평균 7% 성장

배당주 수익 계산

  • 초기 자산 10억 원 × 4% 배당수익률 = 연 4,000만 원 배당금
  • 생활비 3,600만 원을 배당금으로 충당 가능 → 원금을 유지하면서도 자산 성장 가능

배당주 자산 증가 시뮬레이션 (연평균 7%)

  • 10억 원이 연 7% 복리 성장 시,
    • 10년 후(60세) → 약 19.7억 원
    • 30년 후(80세) → 약 76.1억 원
    • 70년 후(120세) → 약 2,264억 원

자산이 크게 불어나며 배당금도 늘어남 → 평생 안정적인 현금흐름 유지 가능

📌 장점

  • 배당만으로 생활비 충당 가능
  • 자산이 지속적으로 성장

📌 단점

  • 시장 변동성(배당 감소 위험)
  • 배당주 투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 필요

결론: 어떤 방법이 더 유리할까?

항목 사연금 방식 배당주 투자

안정성 ✅ 높음 ⚠️ 변동성 있음
자산 성장 ❌ 제한적 ✅ 장기적으로 크게 성장
현금 흐름 ✅ 안정적 ✅ 배당으로 충당 가능
관리 필요성 ✅ 낮음 ⚠️ 지속적인 관리 필요
인플레이션 대응 ❌ 어려움 ✅ 배당 증가 가능
  • 안정성을 원하면 → 사연금 방식
  • 장기적인 자산 성장을 원하면 → 배당주 투자

배당주 투자 방식이 장기적으로 훨씬 유리한 선택이 될 가능성이 크지만,

시장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지가 중요해.

 

*본 글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작성된 글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.*

반응형

'재테크 > 은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직장인 1년에 1억 모으기 가능할까?  (10) 2025.03.22
국민연금 이대로 괜찮을까?  (4) 2025.03.22
배당주 뜻  (0) 2025.03.16
사연금 뜻  (0) 2025.03.16